#일상소식(1827)
-
#이혼 (離婚)
명사 1. 법률 부부가 합의 또는 재판에 의하여 혼인 관계를 인위적으로 소멸시키는 일. 개가 1 改嫁 명사 결혼하였던 여자가 남편과 사별하거나 이혼하여 다른 남자와 결혼함. 표준국어대사전 재가 2 再嫁 명사 결혼하였던 여자가 남편과 사별하거나 이혼하여 다른 남자와 결혼함. 재취 2 再娶 1. 명사 아내를 여의었거나 아내와 이혼한 사람이 다시 장가가서 아내를 맞이함. 2. 명사 두 번째 장가가서 맞이한 아내. 표준국어대사전 전처 前妻 명사 이혼이나 재혼을 하였을 때, 전에 혼인했던 여자를 이르는 말. 이혼녀 離婚女 명사 이혼한 여자 이혼(離婚, 문화어: 리혼, 영어: divorce)은 부부가 합의 또는 재판에 의하여 혼인 관계를 인위적으로 소멸(취소)시키는 행위이다. 현재, 민법상 이혼에는 '협의상 이혼'..
2024.10.25 -
#침선장
1988년 8월 1일 중요무형문화재(현 국가무형유산)로 지정되었으며, 기능보유자는 구혜자(具惠子)이다. 침선은 넓은 의미로 해석할 때는 복식 전반을 만드는 일을 가리킨다. 침선은 넓은 의미로 해석할 때는 복식전반을 만드는 일이다. 즉, 바늘에 실을 꿰어 바느질로서 만들 수 있는 모든 복식이 포함된다. 따라서, 그것은 옷을 말라서 바느질하는 봉제, 옷에 어울리는 무늬를 수놓는 자수, 옷에 곁들여 장식하기 위하여 만드는 장신구공예 등이다. 그러나 주류를 이루는 것은 역시 옷을 말라서 바느질하는 일이다. 바느질하는 방법으로 기초가 되는 것은, 감침질 ·홈질 ·박음질 ·상침뜨기 ·휘갑치기 ·사뜨기 ·시침질 ·공그르기 ·솔기하는 법 등이다. 옷에 따라, 또는 옷의 분위기에 따라 알맞은 방법을 썼으며, 같은 옷이라..
2024.10.18 -
#한글날 #578돌
훈민정음(訓民正音) 곧 오늘의 한글을 창제해서 세상에 펴낸 것을 기념하고, 우리 글자 한글의 우수성을 기리기 위한 국경일. 1926년에 음력 9월 29일로 지정된 ‘가갸날’이 그 시초이며 1928년 ‘한글날’로 개칭되었다. 광복 후 양력 10월 9일로 확정되었으며 2006년부터 국경일로 지정되었다. 또한 세종어제(世宗御製) 서문(序文)과 한글의 제작 원리가 담긴 『훈민정음(訓民正音)』은 국보 제70호로 지정되어 있으며, 이것은 1997년 10월 유네스코(UNESCO) 세계기록유산(Memory of the World)으로 등록되었다. 유래 훈민정음은 세종대왕 25년 곧 서기 1443년에 완성하여 3년 동안의 시험 기간을 거쳐 세종 28년인 서기 1446년에 세상에 반포되었다. 한글은 자연발생적으로 생긴 것..
2024.10.09 -
#7월11일 띠별 운세 #별자리 운세 #더사주 운세 2024.07.11
-
#7월10일 띠별 운세 #별자리 운세 #더사주 운세 2024.07.10
-
#7월9일 띠별 운세 #별자리 운세 #더사주 운세 2024.07.09